HPV 란? Human papillomavirus의 약자이며 인체유두종 바이러스라고 칭한다.
얼마나 위험하길래 '가다실 9가' 백신 접종을 권장하는 것인가?
인체유두종 바이러스는 자궁경부암의 중요한 원인 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까지 알려진 100여 종의 인체유두종 바이러스 중 40여 종이 생식 기관에서 발견이 되고 이 중 고위험군인 발암성 인체유두종 바이러스가 자궁경부 암과 연관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아직까지는 감염 경로가 확실하게 밝혀진 것은 없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HPV의 자궁경부감염은 성행위를 통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성 경험이 없던 여성에게도 감염이 확인이 되고 있어 감염 경로를 단정 지을 수는 없다.
HPV 감염은 대부분 특별한 증상 없이 자연 소멸이 되지만, 지속적인 HPV 감염은 자궁경부암, 질암, 외음부암, 항문암, 생식기 사마귀, 자궁경부 상피 내 병변 등 다양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어 굉장히 위험하다.
HPV 감염 환자 수(여성)
◆ 자궁경부암으로 새로 진단받은 환자는 3,273명이고, 자궁경부암으로 하루 평균 사망자 수는 10만 명 당 3.1명이다.
HPV 감염 환자 수(남성)
◆ 남성 생식기 사마귀 환자 수는 2,498명이고, 생식기 사마귀 환자 중 20~30대 비율이 67%로 집계되고, 생식기 사마귀 치료 후 재발률은 30%로 집계되고 있다. 국내 남성의 생식기 사마귀 유병률은 만 25~34세 남성에서 가장 높았다.
치료법이 존재하는가?
무증상인 인체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치료법은 없다. 몇 가지 유형의 인체유두종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이 개발이 되어 자궁경부암의 예방에 사용되기 시작했고, 생식기 사마귀 치료법은 고식적 제거 방법으로 치료하고는 있지만 아직 바이러스를 소멸시킬 수 있는 방법은 없으며 현재는 병적인 부위를 제거하고 재발률을 감소시켜 암 발생 가능성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가다실 9가' 백신은 HPV 감염에 대한 치료 효과는 전혀 없다. 오로지 HPV 질환 예방을 위한 백신이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현재로서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예방
2020년 Vaccines에서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여성의 경우 자궁경부암, 외음부암, 질암, 항문암이 96.7% 예방되었으며, 질, 항문 사마귀는 100% 예방이 되었다고 발표하였고, 남성의 경우 항문암 78%, 생식기 사마귀는 90% 예방이 되었다고 발표하였다.
'가다실 9가' 백신 접종 가능 대상
◆ 만 9~45세 여성
◆ 만 9~26세 남성
◆ 성 경험으로 인하여 특정 유형의 HPV에 노출되었다 하더라도 가능 (다른 유형의 HPV 감염으로 인한 질환 예방 효과 기대)
◆ 수유부도 가능하다. 하지만 '가다실 9가' 백신에 의해 유도된 백신 항원 또는 항체가 유즙으로 이행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가다실 9가' 백신에 대한 임상시험의 백신 접종 기간 동안 총 92명의 여성이 수유를 하였었고 백신 접종 기간 동안 수유를 받은 유아들에게서 백신과 관련된 중대한 이상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가다실 9가' 백신은 무조건 3회 접종을 해야 한다.
임상 시험에서 1년 이내에 3회 접종을 모두 마친 경우 유효성이 입증되었기 때문이다.
- 2차 접종은 1차 접종 일로부터 최소 1개월 후, 3차 접종은 2차 접종 일로부터 최소 3개월 후에 이루어져야 한다.
- 단, 만 9~14세의 경우, 2회 접종 일정으로 접종이 가능하다.
- 접종을 다 받았더라도 자궁경부암 및 각 정기 검진은 지속적으로 받아야 한다.
백신 접종 비용은?
만 12세 이하의 여자 청소년은 무료이지만, 해당이 안 될 시 보험 급여 적용이 되지 않기에 비보험 비용을 지불해야한다.
- 1차 기준 19~23만 원이고 3차까지 접종 시 약 60만 원 내외 (실비 적용은 안된다.)
댓글